국내주식 배당금 지급일 확인 방법 2가지 (기준일, 금액, 날짜)

안녕하세요. 스페셜 매뉴얼입니다. 지금 포스팅은 국내 주식 배당금 지급일 확인 방법 2가지를 소개하는 글입니다. 주식의 수익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뉘는데 하나는 주가 상승에 따른 차익 실현이고 다른 하나는 지급된 배당금을 받는 것입니다. 여기서 배당금은 장기 투자자들에게 안정적인 수익원이 될 수 있어 이를 높은 배당률의 기업만 집중적으로 투자하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참고로 배당을 받으려면 주식을 오랜 기간 보유하는게 중요한 것이 아니라 배당 기준일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만 하는데요. 이러한 배당금 기준일에 주주들을 특정하고 이 후 배당금 지급일에 공시된 배당금을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초보 투자자들은 배당금이 언제 지급되는지, 배당 기준일과 배당락일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배당금을 받을 자격을 얻으려면 어떤 조건이 필요한지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이번 본문에서 국내주식 배당금 지급일 확인 방법 2가지를 안내드리겠으니 참고하여 바로 조회해보시길 바랍니다.

1. SEIBro에서 국내주식 배당금 지급일 확인 방법

국내주식 배당금 지급일 확인 방법 2가지 (기준일, 금액, 날짜)

1. SEIBro 사이트실행합니다.

Domestic stock dividend payment date 2

2. 상단 메뉴에서 주식 > 배당내역전체검색을 클릭합니다.

Domestic stock dividend payment date 3

3. 기업명/종목에서 돋보기 검색 버튼을 클릭합니다.

Domestic stock dividend payment date 4

4. 배당금 지급일을 조회하고 싶은 기업을 검색 후 클릭합니다.

Domestic stock dividend payment date 5

5. 배당기준일을 조회하고 싶은 기간을 설정합니다.
6. 조회 버튼을 클릭합니다.

과거 배당기준일을 함께 조회하고 싶어 저는 5개년으로 설정해주었습니다.

Domestic stock dividend payment date 6

7. 선택한 국내 주식의 배당금 지급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배정기준일: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 주주를 확정한 날로 영업일 2일 전 주식을 매수해야됩니다.
  • 현금 배당 지급일: 배당금이 계좌로 지급되는 날짜입니다.

배정기준일만 보이고 현금 배당 지급일이 아직 보이지 않는다면 날짜가 공시되지 않은 것입니다. 다만 오랜 기간 꾸준히 배당금을 지급했던 기업이라면 과거 배당 지급일과 비슷한 날짜에 배당을 지급해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와 같은 경우에는 4분기 배당금 지급일은 과거 늘 그랬듯 4월 3번째 주 금요일에 지급해줄 가능성이 가장 높습니다.

2. DART에서 국내주식 배당금 지급일 확인 방법

Domestic stock dividend payment date 7

1. DART 사이트실행합니다.

Domestic stock dividend payment date 8

2. 배당금 지급일을 조회하고 싶은 기업을 검색합니다.

Domestic stock dividend payment date 9

3. 지급일을 확인하고 싶은 기간을 설정합니다.
4. 상세조건열기▼를 클릭합니다.

Domestic stock dividend payment date 10

5. 보고서명에서 배당을 입력하고 검색합니다.

Domestic stock dividend payment date 11

6. 배당금 지급일을 확인하고 싶은 날짜의 보고서를 선택합니다.

Domestic stock dividend payment date 12

7. 공시 내용 중 배당금 지급 예정일자를 확인합니다.

배당금 관련 용어별 설명 안내

  • 배당발표일: 기업이 주주들에게 지급할 배당금의 금액과 지급 일정 등을 공식적으로 발표하는 날입니다. 보통 실적 발표와 함께 공시되며, 투자자들은 이를 참고해 배당주 투자 전략을 세웁니다.
  • 배당기준일: 배당을 받을 주주를 확정하는 기준이 되는 날짜입니다. 이 날짜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배당기준일 다음 날부터 배당락이 적용됩니다.
  • 배당락일: 배당을 받을 권리가 사라지는 날을 의미합니다. 이 날짜 이후에 주식을 매수하면 배당을 받을 수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배당 기준일의 하루 전 거래일이 배당락일이 됩니다.
  • 배당성향: 기업이 순이익 중에서 주주에게 배당금으로 지급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배당성향이 40%라면 순이익의 40%를 배당으로 지급한다는 뜻입니다. 배당 정책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 배당률: 주당 배당금이 현재 주가 대비 얼마나 되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배당률이 높을수록 주가 대비 배당 수익이 크다는 의미이며, 배당주 투자 시 중요한 참고 지표가 됩니다.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