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오픈채팅 신고 방법 2가지 (사용자, 오픈톡방)

안녕하세요. 스페셜 매뉴얼입니다. 지금 포스팅은 카카오톡 오픈채팅 신고 방법 2가지를 소개하는 글입니다. 카카오톡 오픈채팅은 다양한 주제로 만들어진 채팅방에서 다수의 사람들과 소통을 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이러한 오픈톡방에서는 대부분 익명 프로필로 참여하기 때문에 실명으로 활동하는 채팅방에 비해서 욕설, 비하발언, 광고, 홍보 등이 매우 많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픈채팅방을 이용하던 중 눈쌀이 저절로 찌뿌려지는 사용자를 보셨거나 오픈톡방을 발견하셨다면 즉시 신고하시는 것을 추천드리는데요.

카카오톡 오픈채팅 신고시 카카오에서 자체적으로 신고 내용을 확인한 후 상대방의 오픈톡방 서비스 이용을 정지 처분을 내리게 됩니다. 이렇게 정지를 받은 사용자는 처음에는 짧은 기간 동안 오픈채팅을 사용할 수 없게 되며 이후에도 계속해서 오픈채팅 신고가 누적되면 정지기간이 늘어나다가 결국 영구정지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깨끗하고 안전한 카톡 오픈채팅방을 만들기 위해서라도 카카오톡 오픈채팅 신고 방법을 알아두시는 것이 좋으니 본문의 방법을 참고하여 활용해보시길 바랍니다.

카카오톡 오픈채팅 사용자 신고 방법

KakaoTalk open chat report 1

1. 카카오톡 앱을 실행하고 오픈채팅 메뉴를 클릭합니다.
2. 가입한 오픈채팅방을 누릅니다.

KakaoTalk open chat report 2

3. 오픈채팅방에서 신고하고 싶은 상대방 프로필을 클릭합니다.

KakaoTalk open chat report 3

4. 차단을 누릅니다.

KakaoTalk open chat report 4

5. 차단하고 신고를 선택합니다.

KakaoTalk open chat report 5

6. 신고할 메시지를 최대 5개까지 선택하여 체크합니다.
7. 신고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KakaoTalk open chat report 6

8. 신고 사유를 선택합니다.

KakaoTalk open chat report 7

9. 접수하기를 누릅니다.

KakaoTalk open chat report 8

10. 카톡 오픈채팅 사용자의 신고가 접수되었습니다.

신고가 접수되면 자동으로 해당 사용자를 차단하게 됩니다. 이 후 해당 사용자는 카카오팀의 신고 판단에 따라서 오픈채팅방 서비스 정지 처분을 받게 될 수 있습니다. 참고로 한번 차단 및 신고한 사용자는 해제할 수 없으니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카카오톡 오픈채팅방 신고 방법

KakaoTalk open chat report 9

1. 신고하고 싶은 카톡 오픈채팅방을 실행합니다.
2. 우측 상단의 목록 버튼을 클릭합니다.

KakaoTalk open chat report 10

3. 오픈채팅방 이름을 누릅니다.

KakaoTalk open chat report 11

4. 우측 상단의 신고 버튼을 클릭합니다.

KakaoTalk open chat report 12

5. 신고 사유를 선택합니다.

KakaoTalk open chat report 13

6. 접수하기를 클릭합니다.

KakaoTalk open chat report 14

7. 카카오톡 오픈채팅방 신고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제 해당 카카오톡 오픈채팅방 신고시 위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카카오팀에게 오픈채팅 커버가 접수됩니다. 만약 허위로 신고했을 경우에는 본인의 서비스 이용이 제한될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카카오톡 오픈채팅 신고 사유 10가지 정리

  1. 스팸: 수신자의 명시적인 사전 동의 없이 광고성 정보를 보내거나 동일하거나 의미없는 내용을 반복적으로 전송하거나 게재함.
  2. 음란 성적행위: 특정 성적 부위를 노출하거나 묘사하는 내용을 보냄.
  3. 아동 청소년 대상 성범죄: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그루밍, 성적 행위,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개인정보 유포 협박 등을 함.
  4. 욕설 폭력 혐오: 다수의 이용자이 거부감을 느끼거나 기피할 수 있는 내용을 올림.
  5. 불법 상품 서비스: 도박 등 사행행위 사이트 등을 홍보하거나 이용을 유도함.
  6. 개인정보 무집 수집 유포: 타인의 개인정보를 유포 및 게재하는 행위를 함.
  7. 비정상적인 서비스 이용: 비정상적인 프로그램을 이용함.
  8. 자살 자해: 자살 의사 또는 계획을 표현하거나 실행이 명백하다고 판단할 수 있음.
  9. 사기: 금전 또는 개인정보를 요구하거나 악성 앱 링크등을 전송함.
  10. 불법촬영물 등 유통: 불법촬영물을 유포함.

카카오톡에서는 위와 같이 오픈채팅 신고에 따른 사유를 10가지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내가 신고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메시지나 오픈톡방이 어떤 기준으로 서비스 약관을 위배하였는지 판단하시고 신고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허위사실로 신고하셨을 경우 본인의 오픈채팅방 서비스가 정지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여기까지 스페셜 매뉴얼에서는 카카오톡 오픈채팅 신고 방법 2가지를 안내드렸습니다. 이제부터 더 깨끗하고 안전한 오픈채팅 서비스 문화를 위해 악성 사용자들을 만나셨다면 이제 바로 신고해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작성하기